[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회장 유영상)는 7월 30일(수), ‘인공 지능 재녹음 특화 한국형 광고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AI 더빙 특화 K-FAST) 확산지원’ 사업 공모 결과, 6개 연합체(컨소시엄)·20개 한국형(K)-채널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세계 1.4억명(월 이용자) 규모의 우리 세계적 매체 온라인 체제 기반(미디어 플랫폼)인 한국형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K-FAST)을 기반으로, 자막보다 재녹음(더빙) 시청을 선호하는 해외 현지 시청자의 수요에 맞춰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한 재녹음(더빙) 등 신속한 현지화 종합지원을 통해 시청 몰입감과 현지 경쟁력을 높인 한국형-채널(K-채널) 확산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5월, 80억원의 본 사업 추경 예산을 편성한데 이어, △ 사업자 공모(5.30~6.30), △ 발표 평가, △ 사업비 심의·조정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인공 지능 재녹음(AI 더빙) 등 현지화 기술력과 신작 등 차별화된 매체‧콘텐츠 경쟁력이 우수한 6개 연합체 사업자를 선정하였다.
연합체는 주관기업 6개사(인공 지능 재녹음)와 참여기업 22개사가 협력하여,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해 한국형-매체‧콘텐츠의 해외진출에 필수적인 재녹음(더빙)과 화질개선, 음원제거/대체 등 현지화 작업을 수행하여 한국형-채널 20개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인공 지능 재녹음 기술로 드라마, 한국 대중음악(K-POP), 영화, 예능 등 장르별 특성에 적합하게 발화자의 음색, 억양 등 비언어적 표현까지 정교하게 재현할 뿐만 아니라, 인공 지능 규모확대(AI 업스케일링) 기술로 종전에 인기를 끌었던 한국형-매체‧콘텐츠 작품의 화질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인공 지능 재녹음(더빙) 특화 한국형-채널은 장르별로는 드라마 7개, 예능 5개, 영화 3개, 한국 대중음악 1개, 기타 4개(게임, 여행, 시사교양, 종합)이며, 재녹음(더빙) 언어별로는 영어 12개, 스페인어 7개, 포르투갈어 1개로 해외 시청자의 한국형-매체‧콘텐츠 수요와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FAST) 시장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인공 지능 활용 재녹음(더빙) 콘텐츠 1,400여시간을 확보할 계획이며, 총 4천 4백여편의 한국형-매체‧콘텐츠가 북미를 중심으로 유럽, 중남미, 아시아 등 20여개국에 오는 4분기부터 순차적으로 우리나라 지능형 텔레비전 체계(스마트TV 플랫폼,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 내 한국형-채널로 송출될 예정이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한국형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K-FAST) 국제화 촉진과 미래 성장 전략 모색 등을 위해 8월 중 ‘국제 광고기반 무료 씰시간 재생 텔레비전 학술회의(FAST 컨퍼런스)’ 및 ‘한국형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K-FAST) 광고 사업상 만남(비즈니스 밋업, meet-up)’을 개최하고, 4분기에는 ‘국제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 전시회(글로벌 K-FAST 쇼케이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강도성 방송진흥정책관은 “한국형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K-FAST)과 인공 지능 현지화 기술을 결합해 우리 독자적인 한국형-매체‧콘텐츠(K-미디어‧콘텐츠)의 해외 확산 기반을 구축하고, 민관 협업모형을 통해 한국형-채널(K-채널)이 세계 시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