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지능 기술로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문제 해결해 나간다.

대전/세종/충남 / 박영진 기자 / 2025-07-23 18:01:53
  • 카카오톡 보내기

[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여성가족부와 함께「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과제(프로젝트)」사업을 통해 추진하는 ‘인공 지능 기반 아동·청소년 온라인 성착취 선제적 대응 체계 도입’ 과제의 착수보고회를 7월 23일(수)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청사에서 개최하였다.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과제(프로젝트)」사업은 인공지능(AI)·빅데이터·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클라우드) 등 디지털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하여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 서비스를 향상하고, 사회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해오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인공 지능 기반 아동·청소년 온라인 성착취 선제적 대응 체계 도입’ 과제는 최근 인공 지능 조작영상(딥페이크) 성범죄 등 디지털 성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성범죄 사회문제 해결’을 주제로 추진한 지정 공모를 통해 선정된 주요 과제이다.

동 과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온라인에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등을 자동 탐지하고 조기 차단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기존에는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을 식별하기 위해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담당자의 열쇳말(키워드) 중심의 수작업 검색 등 육안 점검(모니터링) 방식 위주로 추진해 왔으며, 성착취물 발견 시에도 수작업으로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사에 삭제를 요청하였다.

이번 사업을 통해 자가학습형 인공지능(AI) 체계를 구축·접목함으로써 24시간 365일 실시간 감시가 가능해진다. 인공 지능 연산 방식(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에서 성착취 열쇳말(키워드)·이미지 유해성 분석 등을 통하여 의심 정보를 탐지하고, 분석 기술 고도화를 통해 위험도에 따른 검토 대기열을 구성하여 체계적인 검토 후 삭제 지원을 연계한다. 신고·삭제 지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등을 활용하여 탐지된 게시물의 삭제를 관련 온라인체제 기반(플랫폼)으로 요청하고, 처리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공동주관기관인 한국여성인권진흥원(원장 신보라)은 피해자 보호 전문성을 바탕으로,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내 상담 연계 및 피해 대응체계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착수보고회에는 과기정통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여성가족부 등 과제의 주관기관 및 수행기업이 참여하여 디지털 성착취 문제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에 대한 디지털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인공 지능·데이터 기반 선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기관 간 협업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번 과제를 통해 피해 접수-삭제 지원-상담 연계에 이르는 통합 체계를 구축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성범죄 대응 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인공 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공공 서비스에 적극 접목하여,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안전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