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8월 13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오창 다목적방사광가속기구축사업단(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진짜’ 연구 기반시설(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국제 기술 경쟁과 급변하는 기술 속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예타를 폐지하고, 사업을 연구형과 구축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투자⸱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이 중 구축형 연구개발은 연구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진짜’ 연구기반시설(연구인프라)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번 간담회에는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관으로 미국 등 선진국의 사업(프로젝트) 관리체계 전문가와, 국내 대형 연구시설⸱장비 기획과 운영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연구자 수요를 최우선으로 반영하는 새로운 국가 연구기반시설(연구인프라) 구축 체계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선진국의 관리 모형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관리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그동안 정부 주도로 진행되던 연구시설⸱장비 구축 방식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과학적 큰 질문’에서 출발해 연구자 수요를 중심으로 국가 연구기반시설(연구인프라)을 구축하는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며, “단기적으로는 국제 기술경쟁에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제도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