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경찰서 금마파출소 순경 이용연)
보이스 피싱에 예방과 홍보가 확대되면서 보이스 피싱 범죄 수법도 지능화 전문화 되는 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기존엔 주로 불특정 다수의 피해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검찰이나 경찰을 사칭한 후 대포계좌로 돈을 입금시킨 뒤 인출책을 통해서 현금을 빼내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전화 통화로만 이뤄지던 기존의 보이스 피싱 범죄와는 달리 최근엔 절취형, 대면 편취형, 대출 빙자형, 취업사기형 등 날로 범죄유형이 다양해 지고 있다.
문제는 보이스 피싱 기술이 교묘하게 변하는 상황에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보이스 피싱을 막을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보이스 피싱을 당하지 않으려면 최대한 모르는 번호는 받지 않도록 하고, 타인에게 절대로 자신의 개인정보나 통장 카드번호 등을 넘겨 주지 않도록 하며, 특정 공공기관 사이트 유도시 의심해 보는 등 스스로의 각별한 주위가 필요하다.
이러한 주위에도 불구하고 만약 보이스 피싱에 당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경찰청 112, 인터넷 진흥원 118, 금융감독원 1332등에 신고하여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나는 아니겠지”하는 순간 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고 눈 뜨고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항상 조심 또 조심하는 것이 보이스 피싱 범죄로부터 나를 보호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