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주도의회 |
[파이낸셜경제=김영란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문화체육교육국과 전국체전기획단을 대상으로 2026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체전 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준비 전반의 총체적 부실을 강하게 질타했다.
강철남 의원은 전국체전기획단을 상대로 “대회 개막이 10개월도 남지 않았지만 주경기장인 강창학종합경기장은 공정률이 15%, 서귀포시 종합체육관은 30%에 불과하다”며 “공사가 대회 직전인 6~7월에 집중되는 일정은 졸속 시공과 안전사고 위험을 높이는 매우 위험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특히 “NC파크 추락 사고 이후 체육시설 안전기준이 대폭 강화된 만큼, 정밀 안전진단과 승인 절차에 수개월이 걸리는 현실을 감안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두화 의원은 도청 직장운동경기부에 대한 예산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국체전 개최를 앞둔 지자체의 선수단 예산이 최근 3년간 제자리걸음인 반면, 메달 수는 2023년 175개에서 2025년 143개로 줄었고 선수 수도 급감했다”며 “중복 행사에 예산을 투입할 여유가 있다면, 우선 선수단 강화에 투자하는 것이 도리”라고 꼬집었다. 이어 “태권도 선수는 13명에서 8명으로 줄었고, 배드민턴팀은 창단 이후 메달 1개에 그쳤다”며 “우수선수 유출과 성적 하락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추경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대진·양영수 의원은 장애인체전 준비와 관련해 접근성 개선이 미흡하다고 질타했다. 두 의원은 “전체 38개 장애인 경기장 중 8곳만 접근성 시설을 갖췄고, 무장애 관광 조성 예산이 고작 3천만 원에 불과하다”며 “임시 경사로 몇 개 설치하는 수준으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장애인 선수단과 관람객이 이용할 숙소, 식당, 관광지, 교통까지 무장애 접근이 보장돼야 한다”며 “단기 처방이 아닌 중장기 로드맵과 조례 제정을 통해 제주의 관광·생활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대진·양영수 의원은 장애인체전을 준비 중인 체육진흥과와 전국체전기획단을 향해 "장애인 경기장 38곳 중 단 8곳만 접근성 시설을 준비하고, 무장애 관광 조성 예산이 고작 3천만 원이라는 건 상식 밖"이라며 "대회를 위한 임시 경사로 몇 개 설치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2026년 전국체전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제주의 체육 인프라와 행정 신뢰도를 가늠하는 시험대”라며 “눈앞의 일정에 쫓겨 졸속으로 시설을 완공하거나, 보여주기식 행사에 예산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 실질적인 대회 운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내실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