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남 그린스마트 미래학교’개관식 |
[파이낸셜경제=김예빈 기자] 경상남도교육청은 24일 합천여자고등학교에서 ‘경남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개관식을 열었다.
이날 개관식에는 박종훈 교육감을 비롯하여 합천군수와 합천 지역 초ㆍ중등학교 교장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사전 공연을 시작으로 축사, 경과보고, 홍보 영상 시청, 색줄 자르기, 시설 관람 순으로 진행됐다.
박종훈 교육감은 인사말에서 “합천여고가 이번 사업을 통해 학생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 나아가 지역사회의 미래를 담는 공간으로 새롭게 거듭났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여성 교육의 대표적인 산실로 발전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경남교육청은 40년 이상 노후된 학교 시설을 미래형 교육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했으며, 2024년부터는 ‘미래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104개 학교에 1조 4,8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미래 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학교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그 중 합천여고는 2022년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2022년 2월부터 시작된 합천여고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학생 중심의 창의적이고 유연한 교육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 등 교육공동체가 설계 과정부터 참여하여 미래의 꿈을 담은 교육 공간으로 재탄생됐다.
합천여고는 총 6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지상 3층, 총면적 2,881.11㎡ 규모의 미래형 학교 공간으로 리모델링했다.
학생들은 12개월간 임시 교사(모듈러)에서 생활한 뒤, 올해 8월부터 새롭게 단장된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리모델링을 통해 합천학교는 기존의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구조에서 벗어난 복층 오픈형 구조의 복합 예체능 공간인 ‘근화홀’를 조성했다.
이 공간은 학습과 휴식, 체육, 문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접이문(폴딩도어)을 활용한 가변형 교실,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을 구축해 미래형 수업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특히 근화홀은 접이문을 설치하여 외부로의 개방감을 높였으며 외부 테라스 및 산책로로 이어져 생태교육 연계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앞으로 이 공간은 지역민을 위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다.
안순영 미래학교추진단장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로 다시 태어난 합천여고가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배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뜻깊다”라며, “변화한 학교시설이 바른 인성을 가진 미래핵심 인재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