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예술날개 페스티벌 포스터 |
[파이낸셜경제=김예빈 기자] 광주문화재단은 광주형장애인문화예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내 심장의 날갯짓’을 주제로 한 ‘2025 예술날개 페스티벌’을 11월 3일부터 7일까지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 해 동안 추진된 장애예술 프로그램과 창작 성과를 시민과 공유하고, 장애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성과공유형 문화예술 축제다.
‘내 심장의 날갯짓’이라는 주제에는 예술을 통해 모두의 심장을 뛰게 하고, 장애예술이 더 큰 무대와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았다.
광주문화재단은 장애인이 더욱 쉽게 문화예술을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지역 내 7개 복지관 등 생활거점공간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또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장애예술인 단체 10곳이 뮤지컬, 음악, 난타, 시각미술, 공예 등 폭넓은 장르에서 창작활동을 이어왔다.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이들의 성과를 한자리에 모아 시민들과 나눌 예정이다.
빛고을시민문화관 공연장에서는 ▲시각장애인복지관의 모듬북 난타 ▲서구장애인복지관의 하프연주 ▲광산구장애인복지관의 리듬 악기 합주 ▲남구장애인복지관의 뮤지컬 ‘반짝 상담소’ ▲동구장애인복지관의 뮤지컬 ‘의적춘향’ ▲어둠속의 빛 협동조합의 클래식 악기 합주 ▲모자이크의 클래식 악기합주 ▲내드름 1585의 국악기 연주 등 다채로운 무대가 펼쳐진다.
빛고을시민문화관 전시장에서는 ▲광주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광산구장애인복지관 ▲한국장애인문화광주광역시협회 ▲비알스페이스 ▲엠마우스복지관 ▲광주정신재활센터 ▲광주장애인미술협회 ▲광주장애예술인협회 ▲푸른하늘장애인복지회의 총 143점의 작품 전시가 진행되어, 장애예술인들의 다채로운 창작 세계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예술날개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어둠속의 빛 협동조합의 보컬 신수지씨는 “무대에 오르면 더 이상 장애인이 아니라 아티스트로 보인다는 게 가장 행복하다”며, “음악으로 사람의 마음을 두드릴 수 있다는 게 제 날갯짓이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지난 10월 23일에는 예술날개 페스티벌 프리뷰 공연으로 실로암사람들의 창작극 ‘생애 가장 치열했던 순간들’이 무대에 올랐다. 인화학교 성폭력대책위원회 활동 2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작품은 연극·수어·영상이 결합된 형식으로 사건을 재구성해, 피해자와 약 350명의 관객이 기억과 치유를 함께 나눴다.
배동환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은 “이번 예술날개 페스티벌이 장애와 비장애의 구분 없이 모두가 예술로 연결되고 공감되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광주가 장애예술의 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 예술날개 페스티벌’ 전시는 11월 3일부터 7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빛고을시민문화관 1층 전시장에서 진행되며, 공연은 11월 6일 오후 2시 대공연장에서 열린다. 개막식은 같은 날 오후 1시에 개최되며, 관람료는 모두 무료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