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H시니어케어 김세훈 총괄대표(Chief Care Director) |
[파이낸셜경제=김지훈 기자] AI 기반 맞춤형 시니어 케어 정보 및 복지 컨설팅 플랫폼 ‘SH시니어케어’가 전국 단위의 복지 생태계 혁신 프로젝트를 공식 출범했다.
이 플랫폼은 시니어와 가족이 복지·의료·돌봄·생활지원 등 필요한 정보를 한 곳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AI 기반 원스톱 케어 시스템이다.
■ “복지는 행정이 아니라, 사람의 연결에서 시작된다”
SH시니어케어 김세훈 총괄대표(Chief Care Director)는 “복지는 행정이 아니라 사람의 연결에서 시작됩니다.
AI는 그 연결을 돕는 다리입니다.”라며, “기술을 통해 복지를 더 따뜻하게 만들고, 모든 세대가 안심하고 나이 들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총괄대표는 이어 “SH시니어케어는 단순한 정보 플랫폼이 아니라, 막막한 현실 속에서 길을 제시하는 복지의 길잡이이자, 시니어와 가족이 실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실질적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 |
| ▲SH시니어케어 - AI 기반 맞춤형 시니어 케어 정보 및 복지 컨설팅 플랫폼 |
■ 출범 배경 ① — “AI 기반 맞춤형 시니어 케어 정보 제공”
“아이의 교육에는 모두가 준비하지만, 부모님이나 배우자가 돌봄이 필요한 순간에는 대부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누구에게 도움을 청해야 할지, 어떤 복지 제도를 이용할 수 있을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죠.”
김 총괄대표는 이러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무료 맞춤형 케어 리포트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AI 시스템이 개인의 건강 상태, 생활 환경, 가족 구조를 분석해 복지·의료·돌봄·생활지원 정보를 통합 제안합니다.
복지 정보의 벽을 허물고, 시니어와 가족이 가장 필요한 정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라고 하였다.
■ 출범 배경 ② — “전국의 케어천사들을 세상에 알리다”
김 총괄대표는 전국의 복지 현장에서 헌신하는 사람들을 “케어천사(Care Angels)”라고 부른다.
“전국에는 시니어를 위해 헌신하는 수많은 기관, 복지센터, 병원, 복지용품 기업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진심 어린 활동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들을 직접 발굴해 세상에 알리고 싶었습니다.”
SH시니어케어는 이러한 케어천사들을 ‘케어엔젤스(Care Angels)’로 지정하고, 전국 언론연합 100여 곳 이상과 협력해 이들의 스토리를 취재 기반 보도 형식으로 소개한다.
“단순한 광고가 아니라, 이들의 철학과 현장의 이야기를 언론을 통해 알립니다.
AI 케어리포트에도 이 기관과 기업의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복지 정보와 홍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라고 말했다.
■ 출범 배경 ③ — “사회복지사 중심의 일자리 창출과 CareHUB 구축”
김 총괄대표는 SH시니어케어의 또 다른 핵심으로 **‘사회복지사 중심의 일자리 구조’**를 꼽았다.
“전국에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지고도 현장에서 활동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분들이 지역 복지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케어허브(CareHUB)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케어디렉터(Care Director)는 단순 행정직이 아니라 AI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지 자원을 연결하고, 지역의 케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전문직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읍·면·동 단위로 전국 3,500개의 CareHUB를 구축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약 1만 명 이상의 사회복지사 일자리를 창출할 것입니다.
단순 취업이 아니라, 지역 복지 생태계를 직접 운영하는 운영 중심형 직업군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 출범 배경 ④ — “시니어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김 총괄대표는 SH시니어케어의 궁극적인 목표를 “시니어가 존엄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우리는 단순한 정보 플랫폼이 아니라, 지자체, 기관, 대학, 기업, 산학 단체 등과의 연대를 통해 복지·의료·주거·문화가 연결된 생활권 중심 복지 생태계(Living Care Ecosystem)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어 “복지는 행정이 아니라, 함께 만드는 인프라입니다.
지속 가능한 복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며, 시니어가 평생 머물고 싶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국의 케어허브를 중심으로 복지 연대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 |
| ▲SH시니어케어 김세훈 총괄대표(Chief Care Director) |
■ SH시니어케어 준비 배경 — “기술과 사람이 함께하는 융합형 복지”
“SH시니어케어는 기술, 사람, 산업이 함께하는 융합형 복지 모델을 지향합니다.
본사 Central HUB(센텀)과 연구소 CareLab(케어랩)을 중심으로 지자체, 대학, 산학, 기업 등과 연계해 시니어 복지 정책과 기술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CareLab에는 국내외 저명 인사와 시니어 케어 전문 연구진이 참여 중이며, AI 복지데이터 분석, 노인 건강관리, 지역 복지정책 개발 등 지속 가능한 복지 인프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 김세훈 총괄대표 메시지
“SH시니어케어는 기술과 사람이 함께 만드는 복지 생태계입니다.
우리는 복지를 행정이 아닌, 사람과 사람의 연결로 새롭게 정의합니다.
AI는 그 연결을 돕는 다리이며, 모든 세대가 안심하고 나이 들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 SH시니어케어의 4대 미션
1️. AI 기반 맞춤형 케어 정보 제공
2️. 전국 케어엔젤스 홍보 및 복지 네트워크 확장
3️. 사회복지사 중심 CareHUB 운영 및 일자리 창출
4️. 지속 가능한 복지 연대 및 시니어 생태계 구축
■ 김세훈 총괄대표의 비전 발언
김세훈 총괄대표는
“SH시니어케어의 출범은 단순한 서비스의 시작이 아니라, 대한민국 시니어 복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선언입니다.
누군가의 부모님이자, 우리의 미래인 시니어들이 더 이상 복지의 정보 앞에서 막막하지 않도록 기술과 사람, 그리고 연대가 함께하는 따뜻한 복지 생태계를 만들어가겠습니다.
AI가 연결하고, 사람이 완성하는 케어의 시대. SH시니어케어가 그 중심에서 모든 세대가 안심하고 나이 들 수 있는 세상을 열어가겠습니다.”라고 전했다.
파이낸셜경제 / 김지훈 기자 bodo8811@naver.com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