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회 기준치 368배 독성물질인데…경남도 오염퇴적물 관리계획 없어

경남 / 김예빈 기자 / 2025-11-11 16:20:47
  • 카카오톡 보내기
장병국 도의원, 경남도 해역 오염 심각한데 자체 실태조사 없어
▲ 경상남도의회 장병국 의원

[파이낸셜경제=김예빈 기자] 경상남도가 TBT(트리부틸주석) 등 맹독성 물질이 기준치의 수백 배를 초과하는 심각한 해양오염 실태에도 불구하고, 경상남도는 해양오염퇴적물 관리계획을 전혀 수립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관리 부실 논란이 일고 있다.

경상남도의회 장병국 의원(밀양1, 국민의힘)은 지난 11일 열린 2025년도 경상남도의회 해양수산국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장 의원이 언급한 2019년 해양수산부 조사에 따르면 거제 옥포항의 표층 퇴적물에서 TBT 농도가 주의 기준치의 68배에 달했으며, 2016년 통영 강구안항 조사에서는 기준치(5ppb)의 368배에 달하는 1842.49(ug/kg)이 검출되는 등 경남 해역의 오염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병국 의원은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 및 '경상남도 관련 조례'에 따르면, 경남도는 해역관리청으로서 매년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하나, 해양폐기물 수거 및 처리에 대한 계획만 포함되어 있을 뿐, 해양오염퇴적물의 오염도 조사, 처리, 정화사업 계획 등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과거 옥포항, 통영항 등에서 기준치의 수백 배가 넘는 독성물질이 검출된 것은 경남 해역 전체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신호”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남도가 자체 조사나 관리 계획조차 수립하지 않은 것은 도민의 안전과 해양생태계를 방치한 것이나 다름없다” 고 말했다.

장 의원은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이 정부 주도로 추진된다 하더라도, 도 차원의 관심과 계획 수립은 별개의 문제”라며, “내년도 시행계획에는 오염도 조사 및 정화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