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쥐 방역활동 사진 |
[파이낸셜경제=김예빈 기자] 서울 중구가 첨단 장비인 '바이퍼'를 앞세워 '설치류(쥐) 스마트 방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바이퍼는 유인제로 쥐를 틀 안에 유도하고 쥐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셔터가 내려가는 IoT 기반 스마트 장비다. 포획 후에는 전문업체가 48시간 내 현장 출동해 쥐를 처리하고 주변에 약품을 살포한다.
지난 10월 기준으로 구에 접수된 쥐 관련 민원은 43건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주거·상가 밀집지를 중심으로 민원이 집중됐다. 단순 방역 문의도 늘어나 감염병 확산 우려에 대한 주민 불안을 보여주고 있다.
‘바이퍼’ 장비는 중앙·황학시장, 서울역 광장, 명동 관광특구, 청계천 주변 등 총 6개 지역에 시범 설치되며, 포획 추이에 따라 매달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방역약품은 최근 2년간 사용되지 않은 성분을 활용해 약제 내성과 2차 독성 우려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민원 발생 시에는 방역기동반이 즉시 출동해 서식지 확인, 먹이상자 설치 등 현장 맞춤 방제를 실시한다.
중구는 지난 10월부터 중앙시장, 황학시장, 서울역 광장 등 주요 민원지역에 쥐 먹이상자 설치와 약품 투여를 진행 중이다. 공동주택과 음식점 등을 대상으로 한 쥐 방제법 홍보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공원녹지과, 청소행정과, 치수과, 전통시장과, 보건위생과 등 유관부서와 협력해 ▲쥐 먹이원 제거 ▲하수시설물 청소 ▲위생관리 강화 ▲방제법 홍보 등 다각적으로 진행 중이다. 아울러 소독의무대상시설을 대상으로 한 법정 소독 이행 여부도 철저히 점검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최근 잦은 언론보도로 주민 여러분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선제적 방제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며 “구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